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TC

(38)
치킨집 옆 빗썸 ( bithumb ) 고객센터 그냥 뜬금없이 한 번 가보고 싶어 다녀왔다. 본사말고, 신문이나 방송에 가상화폐 관련 뉴스 나올때 자료화면으로 나오는 거기.. 뭔가 있어 보이는 거기.. 빗썸 고객센터을지로입구역 1-1번 출구로 나와면 있는 큰 건물의 뒷골목이다. 전형적인 오피스 지역 뒷골목 상가.주변 느낌은 썰렁하다. 가상화폐 정점이 지나서 그런지 사람도 없다. 치킨집 옆에 있다. 기사용 사진으로 보면 커보였는데 엄청 작다. 옆에 치킨집과 비교해보면 견적 나온다. 전광판도 그럴듯 할 줄 알았는데 그냥 모니터.. 아, 작은 TV인가. 근데.. 하필 치킨집 옆... 치킨은 언제나 진리고, 최종 테크트리도 언제나 치킨인가. 저기 처음 생겼을때 깔끔해서 몇번 갔는데, 이제는 떡볶이도 파는 거 보니 경쟁력은 상실한 것 같다.
비트코인(가상화폐,블록체인) 설명 동영상 비트코인으로 나라가 난리가 났다. 처음엔 이해가 안 되서 이것 저것 찾아 봤는데, 설명이 죄다 문과적이다. 실질적인 작동원리에 대한 설명은 없고 죄다 비유적 표현 밖에 없었다. 아래 동영상은 내가 찾아본 내용 중 쓸데없는 이야기를 뺀, 작동원리를 가장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동영상이다. Ever wonder how Bitcoin (and other cryptocurrencies) actually work? : https://youtu.be/bBC-nXj3Ng4 비트코인을 중심으로 설명했지만 본질적인 내용은 블록체인을 이용하는 다른 가상화폐도 동일하다. 해달 유튜버 따라 들어가면 흥미있는 수학적 내용도 많다. 아, 영어인데 자막이 있다. 영어 딱히 몰라도, 그래픽 설명이 워낙 직관적이라서 동영상 보면서 대충..
바나나우유 딸기우유 커피우유의 우유(원유) 함량 비율 오늘 날짜 뉴스에 각종 가공유(바나나 우유, 딸기 우유, 커피 우유의 우유 비중에 대한 기사들이 많아서 검색으로 찾아 봤다. 찾아보니 컨슈머리서치 라는 곳에서 "바나나우유에 ‘우유’가 없다?... 가공유에 ‘무늬만’ 우유 수두룩"이라는 기사로 낸 자료를 인용한 뉴스였다. 출처 : http://www.consumerresearch.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463011 대충 보니 우리가 예전부터 알고 있던 우유제품은 원유 함량이 높은 편이고 요즘 나온 것은 낮거나 아예 없는 편이다. 그중에서 빙그레 바나나맛우유가 갑이다. 비싼건 비싼 이유가 있는 듯 하다. 개인적으로는 커피우유를 자주 먹는 편인데, 편의점 500ml 커피를 주로 먹는다. 예전부터 원유 비율을 보라고..
원래 "남자는 핑크"였다. 오늘 책을 읽다 발견했다. 그랬다. 원래 남자는 핑크였다. 이제 뺐기지 말자!
글쓰기에 관한 플리처의 명언 “짧게 써라. 그래야 사람들이 읽을 것이다. 명료하게 써라. 그래야 사람들이 이해할 것이다. 그림 그리듯 써라. 그래야 사람들이 기억할 것이다. * 무엇보다 정확하게 써라. 그래야 사람들이 그 빛에 이끌릴 것이다.” 조지프 플리처 ( https://ko.wikipedia.org/wiki/조지프_퓰리처 ) 의 글쓰기에 관한 명언이다. 사실 플리처상은 알았지만 저 명언은 몰랐었다. 신문에서 보고는 글쓰기에 관한 어떤 말 보다 와 닿았다. 말씀에 따라 적어본다. 추가 : 언론인으로서 어떤 생각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에 대해 쓴 글이다. 단순함과 명료함이 전달에는 효율적이나 정확한 전달은 아닐 수 있다. 마지막 문장이 이를 보완하고 있다. 하지만 언론은 위의 세가지만 추구하는 것 같다."행운에 속지 마라"를..
네이버 언론사 뉴스의 정말 사소한 오타 또는 오류? 책 읽는 것 만큼이나 신문 보는 것을 좋아하는데, 네이버에서 종이로 발행된 신문을 따로 볼 수 있어서 자주 이용한다. http://news.naver.com/main/officeList.nhn 고맙게 잘 이용하고 있는데, 며칠 전부터 뭔가 이상해 보이는게 있다. 조선일보다. 보통 보수 언론이라 부르는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는 기사 내용이 많고, 경제면은 별도 섹션으로 나눠서 발행 한다. 보면 B1면이 A41면으로 표시되어 있다. 페이지 관련 링크라서, 코딩 실수인가 생각했다. 그런데, 동아일보는 이상 없다. 그리고, 역시나 발행면이 많아 섹션 나누는 한국경제도 이상 없다. 보통 진보 언론이라 불리는 경향신문, 한겨레 등은 발행면이 적어서 섹션을 안 나눈다. 그래서, 내 결론은 코딩 오류인 줄 알았..
KBS 기상캐스터 트위터 미니홈피 주소 모음 KBS에 가 보니 따로 기상캐서터 페이지가 있다. 미니홈피 붙여서 정리해 봤다. 근데.. 몇몇 분은 포털에 프로필도 없네. 아침뉴스타임, (라)뉴스와 화제 이설아 트위터 : http://twitter.com/seolahlee 9시뉴스, 7시뉴스 김혜선 트위터 : http://twitter.com/weathersunny, 미니홈피 : http://www.cyworld.com/sunny5986 뉴스라인, 마감뉴스 노은지 트위터 : http://twitter.com/eunjiroh, 미니홈피 : http://www.cyworld.com/remnantrej 아침뉴스광장, 930뉴스 최영아 트위터 : http://twitter.com/youngah1224 굿모닝 대한민국 장주희 트위터 : http://twitte..
요새 비트스눕 Bitsnoop 이 하도 안 돼서 트위터에 가보니.. 요새 비트스눕 Bitsnoop 이 하도 안 돼서 트위터에 가보니.. 11월 19일자로 다음 트윗이 올라와 있다. "Some issues with data center, we're working on it. Indexing is not affected, just the web site." 짧은 영어로 읽어 보니 데이터센터에 문제가 있고, 우리는 일하고 있고, 인덱싱(자료를 뜻하는 듯)에는 영향이 없고 단지 웹사이트 문제다 라는 뜻 같다. 난 또 문제가 되는 동영상들이 비트스눕에서 유통되서 차단했나 했다. -0-;; 파이팅~

반응형